생활속 실천가능 적정기술은?…7~9일 서울적정기술 한마당
미세먼지·옷·음식·교육·쓰레기·에너지 등 사례발표
[일요서울ㅣ이완기 기자] 서울시는 5~7일 서울혁신파크 일대에서 일상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적정기술 사례를 체험하고 공유하는 '2019 서울적정기술 한마당'을 연다고 1일 밝혔다.
적정기술은 기술이 사용되는 사회 공동체의 정치·문화·환경적 조건을 고려해 해당 지역에서 지속적인 생산과 소비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것을 의미한다.
5일에는 개막식과 기조 강연, 세션1이 진행된다. 기조강연은 ▲임경수 협동조합 '이장' 대표의 '마을, 공동체 활동과 적정기술의 현황' ▲알렉스 젠슨 미국 로컬 퓨처스 연구원의 '전통 문화로부터 배우는 적정기술의 철학' ▲조승연 성미산 에너지자립마을 대표의 '지속가능한 성미산 마을 만들기' 등이다.
'세션1'의 주제는 미세먼지와 대안 교통이다. 미세먼지 저감, 정화 장치의 사례와 유형, 미세먼지 저감 식물 등 시민 주도의 대처 방안과 정책 등을 살펴본다.
6일 '세션2'에서는 '옷을 짓는 생명의 농업', '세션3'에서는 '내일의 식탁', '세션4'에서는 ‘생활 적정기술과 교육'을 주제로 이야기를 나눈다.
7일 '세션5'에서는 '쓰레기 제로'를 주제로 강동구에서 퇴비장을 운영하고 있는 안철환 온순환협동조합 대표가 강연을 펼친다. '세션6'에서는 '에너지 자립'을 주제로 행사가 진행된다.
전시와 체험 부스는 생활 속에서 생태적이고 친환경적인 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거실, 주방, 텃밭, 창고 등 일상생활 공간으로 나눠 운영된다. 적정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현장에서 직접 보고 체험해 볼 수 있다.
행사와 관련한 문의는 서울시와 '2019 서울적정기술 한마당' 운영사무국으로 하면 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공식 행사 공식 누리집에서 확인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