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와 소통의 관계
2008-08-12 기자
정권과 국민 간 시각차가 너무 큰 데다 정서적 괴리 또한 넓다.
현 정부가 그토록 강조했던 경제가 더욱 침체 국면으로 빠져들면서 지지층 고갈 상태를 빚고 있다. 불과 일곱 여덟 달 전에 국민들 거의 절반의 지지로 대권을 거머쥐었던 대통령이 왜 이렇게 됐느냐에 대해서는 진보와 보수를 떠나 소통의 부재 때문이라는 인식이 팽배했다. 대통령이 국민들과의 소통을 거부해서 아예 대화를 시도조차 안했다는 지적이다.
소통 한다는 것은 서로 아는 이치일 것이다. 안다는 것은 사물에 관한 정보를 가졌다는 의미다. 춘추전국시대 병법에도 지피지기(知彼知己), 즉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 싸워 백번 이긴다고 했다. 조선왕조 선조 조정이 일본에 대한 바른정보를 가져 풍신수길의 조선 침략 야욕을 미리 알고 일본 군비 축적의 현황을 파악했다면 임진왜란의 피해는 분명히 차단 될 수 있었을 것이다.
일본이 2차 세계대전에서 패한 이유가 같다. 미국에는 유명한 ‘CIA’가 있었고 구 소련은 게슈타포(KGB)로 불리는 악명 높은 거대 정보기구를 운용했다.
중국엔 ‘남이사’로 칭한 정보수집 조직이 맹렬한 활동을 전개했었다. 반면 군국주의 일본은 당시 헌병대 사령부내에 ‘난베 다이사꾸’라는 일개 헌병 중위가 이끄는 정보수집대가 고작의 기능이었다. 그나마 연합군과의 정보전 보다 조선 독립군 같은 반일 세력 색출이 주된 임무였다.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지고서야 기상천외한 위력에 놀라 자빠진 ‘히로히토’ 일본 천황이 군 수뇌부를 이끌고 무조건 항복을 선언했다. 이 원폭 투하로 일본의 2차 대전 패망은 과학전에 진 것으로 나타났다. 모르긴 해도 일본이 만약 미국의 원폭 정보를 미리 빼냈다면 당시 일본의 군인 정신에 비춰 전쟁 양상이 크게 변화 될 수 있었다. 일본은 그때 ‘정보가 국력’이란 사실에 소홀했다
최근 일본이 또 버릇같이 빚어낸 ‘독도’ 말썽이나 북한의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태 같은 것이 모두 우리의 정보 부재 탓이라는 강한 비판이 야기됐다. 정부외교가 변모하는 상대국 움직임을 놓치지 않고 우리 처지를 바로 알았다면 이렇게나 황당한 사태를 만들지 않았을 것이란 공박이다. 우리는 옛 중앙정보부나 국가안전기획부의 정보권력 전능(全能)시대를 수십 년이나 지속 시켰을 정도로 거대한 ‘국가정보원’ 기구를 가진 나라다. 그들이 지금 뭣 하는 조직인지 의아한 지경이다.
정부가 아픈 민심을 치유하는 처방전을 국민과의 소통 없이 마련 할 수 없다. 민심 소통은 민심동향을 따르는 것이다. 그러자면 옳은 정보가 필수다.
석 달 가까이나 서울 광화문 일대를 무법천지로 만든 촛불 시위가 어떻게 그렇게 요원의 불길처럼 타 올랐는지를 보혁 대결의 거창한 정략적 책동으로만 봐선 곤란하다. 이 땅의 부모 된 자들 마음은 나는 비록 비루한 것을 먹을지라도 내 자식들에게 만은 좋은 것만 골라 먹이고 싶어 하는 일념이다. 그런 마음조차 헤아리지 못한 이 정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