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분양 불패신화 깨지나?
2008-01-02 스피드뱅크 이미영, 김상미 분양팀장
올 한해 미분양 한파는 수도권까지 이어져 충격을 주고 있다.
분양가 상한제 전 밀어내기식 분양이 몰린데다 수요자들 사이에서 앞으로 더 싼 아파트를 분양 받을 수 있다는 심리. 또, 집을 최대 10년간 되팔 수 없는 전매제한 조치를 수도권 미분양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스피드뱅크 조사에 따르면 2007년 11월말 기준 전국 미분양 가구수는 7만7609가구로 작년 동기간(4만6619가구)에 비해서도 66.48%(3만990가구)나 증가한 수치다.
과거 미분양이 거의 적체되지 않았던 서울 수도권지역은 2006년 11월에 비해 100.8%(3937가구)가 수요자를 찾지 못한 채 고스란히 미분양으로 쌓이게 됐다. 기존 미분양 적체가 심한 지방 및 5대 광역시도 63.34%(2만7053가구)나 늘었다.
과거 판교와 용인 흥덕 등 유망 택지지구에서만 적용되던 전매제한이 수도권 외곽 택지지구에까지 확대 적용된 것도 미분양
증가에 큰 영향을 끼쳤다.
미분양의 주요 원인을 살펴보면 올해 4/4분기 분양가 상한제를 피한 분양물량이 봇물을 이루면서 11월과 12월 사이에만 전국적으로 10만가구가 넘는 많은 분양물량이 쏟아졌다.
이 때문에 수요자들이 분양가가 저렴한 ‘로또아파트’를 제외하고는 청약통장을 아끼면서 미분양 물량이 크게 증가했다.
수요자들 입장에서는 미분양 적체가 심한 상황에서 분양물량까지 대거 쏟아지면서 선택의 폭이 넓은데다 내년이면 분양가 상한제 물량을 저렴하게 분양받을 수 있어 급할 것이 없기 때문. 이 때문에 투자 블루칩으로 꼽히던 파주신도시까지 미분양 사태를 빚었다.
미분양 적체가 심했던 지방 지역은 미분양 해소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마이너스 프리미엄 아파트가 속출하는가 하면 입주 후 불 꺼진 아파트가 늘어나는 등 침체의 늪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는 상황.
여기에 분양가 상한제를 피한 분양물량까지 겹치면서 미분양 적체의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올해 세 차례에 걸쳐 지방 투기과열지구를 해제했으나 미분양 물량은 크게 줄지 않고 있다.
수도권 지역에서는 미분양이 가장 크게 감소한 곳으로 인천지역으로 나타났다. 작년 대비 40.79%(195가구)가 감소했다. 인천지역에 송도경제자유구역, 청라경제자유구역을 비롯해 소래·논현지구 등에서 유망 분양물량이 잇따라 쏟아졌고, 아시안게임 유치로 지역 분위기가 고조됐고, 남구의 대규모 도시개발사업, 서구의 검단신도시 개발 개발호재가 몰리면서 미분양 물량이 빠른 속도로 소진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지역과 경기지역이 각각 37.99%(185가구), 134.25%(3947가구) 증가했다.
경기지역은 남양주 진접, 양주 고읍지구, 파주신도시 동시분양 물량과 이천시의 대단지 분양 물량들이 대거 쏟아지면서 미분양이 급격히 증가했다.
지방지역은 전국 분양 물량의 89.89%를 차지하는 6만9767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동기간 4만2714가구 대비 2만7053가구 63.3%가 증가한 수치다. 지방에서는 단 한 지역도 미분양이 준 곳이 없었다.
미분양 가구수가 많은 지역으로는 대구 1만2189가구, 경남 8911가구, 부산 8446가구, 경북 8390가구 순으로 분양 시장이 침체된 지역으로 집계됐다.
지방지역 중 작년 동기간 대비 11월말 미분양 가구수를 살펴보면 공급물량이 많았던 울산이 전년 708가구에서 올해 2650가구로 2.7배 가량 늘어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대전지역이 유성구와 중구에서 분양한 물량이 미분양 되면서 전년 674가구에서 올해 1721가구로 155.34%가량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