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의회, 중수로 유치 수용 못한다... 분리 유치는 시민 우롱 처사

분노와 상실감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다

2019-04-16     이성열 기자

[일요서울ㅣ경북 이성열 기자] 경주시의회가 16일 기자회견에서 지난 15일 정부의 원전해체연구소 결정 발표에 대해 분노와 상실감을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다며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다.

윤병길의장과 시의원들은 경주시가 지난 2014년 3월 “원자력해체기술연구사업”참여의향서를 제출한 뒤 원해연 경주유치위원회를 만들고, 그해 12월 경주시민 22만5천명(인구대비86%)의 서명을 받아 국회·미래창조과학부·산업통상자원부·한국원자력연구원에 전달하는 등 지난 5년간 전 시민이 원해연 경주유치에 전력을 다해 왔다고 밝혔다.

시의회는 경주시민은 6기의 원전과 중저준위방폐장 건설 등 국가에너지산업발전에 모든 희생을 감수하고 적극 기여해 왔으나 방폐장 유치시 약속한 지원사항도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2015년 월성1호기 수명연장시에는 온갖 감언이설로 주민을 회유 재가동을 해놓고는 이번 결정은 시민들과 한마디 협의도 없이 원해연 경수로·중수로 연구소 분리결정을 진행했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시의회는 에너지전환정책이라는 명분으로 2017년 12월 29일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월성1호기를 일방적으로 폐쇄 결정해 지역경제를 초토화 시켰으나, 원해연 유치라는 큰 희망을 가지고 버티며 참아 왔으며, 그동안 원전의 ‘설계-건설-운영-해체-폐기’ 전 과정이 집적된 인프라를 갖춰 ‘원해연 설립 최적지’로 평가받아 왔다고 주장했다.

경주시의회는 이러한 객관적인 사실에도 불구하고 2014년부터 국책사업으로 추진했던 원해연을 5년동안 검토하고 궁리한 것이 경수로·중수로 연구소로 분리해 원해연 본래의 기능을 무시하고 지역갈등을 조장하는 최악의 결정을 한 것에 대해 시민과 함께 규탄한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는 방폐장 특별법으로 2016년까지 사용후핵연료를 타지역으로 방출하기로한 약속을 즉시 이행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