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교육청, ‘공모사업 자율선택제’ 업무경감 효과있네
학교 여건에 맞는 자율적 선택으로 교육활동 중심 학교환경 조성
[일요서울 l 대구 김을규 기자] 대구광역시교육청(교육감 강은희)의 ‘공모사업 자율선택제’ 시행이 공모사업 신청과정에서 발생하는 학교현장의 부담을 덜어주면서 단위학교의 규모와 여건에 맞는 교육활동의 계기가 되었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지금까지의 학교대상 공모사업은 공모사업 운영 계획에 따라 제출된 각 급 학교의 계획서를 심사해 교육청이 선정하는 방식으로 운영됐다.
그로 인해 공모사업 신청이 집중되는 학년 말 시기면 거의 모든 학교의 업무담당 교사들이 ‘추가 예산 확보를 위한 공모사업 운영 계획서 작성’이라는 과외 업무로 인한 업무 과중을 호소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청 각 부서 및 지원청 별 공모로 인한 일부 학교의 공모사업 과다 선점이 가져오는 부작용도 있었다.
강은희 교육감 취임 이후 교육청은 이러한 현장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교육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학교환경을 조성하고자 ‘공모사업 자율선택제’를 시행, 그 결과를 지난 2월 안내했다.
이와 함께 현장의 소리를 청취하여 보다 발전된 정책 수립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지난 3월 14일부터 21일까지 초․중․고교 기관장 및 업무 담당교사들을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 각 급 학교의 교장(감) 413명과 교사 708명, 총 1121명이 모니터링에 참여했다.
교육청이 각종 공모사업을 일괄 안내하고, 단위학교는 교육적 필요에 따라 자율적으로 선택해 신청할 수 있도록 한 결과, 응답자의 77.2%(865명)가 ‘단위 학교의 책임 경영 및 자율성 확대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했다.
대구서도초등학교 마예란 교장은 “공모사업이 일괄적으로 안내됨에 따라 모든 구성원이 교육의 방향성, 학교경영 목표 등에 적합한 공모사업을 찾아 논의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학교별 현장에 맞는 사업을 신청할 수 있어서 효과적”이라며, ‘공모사업 자율선택제’ 도입의 긍정적 효과를 높이 평가했다.
학교 여건으로 인한 미 신청교를 제외한 모든 학교에 공모사업을 균등하게 지정하여 응답자의 78.9%(885명)가 학교 간 균형발전에 ‘긍정적 영향이 나타났다’고 판단했다.
또한, 공모사업 신청 시 계획서를 제출하였던 관행을 탈피, 공모사업 운영교로 지정된 학교만 신청서를 제출하게 하여 응답자의 단 90.0%(1009명)가 ‘공모사업 신청 관련 행정업무 경감 효과가 보통 이상’이라 평가하는 등 여러 긍정적 결과를 얻었다.
대구율하초등학교의 교사 박진석은 “그간 당연하다 여겨왔던 사전 계획서 제출이 지정 이후 제출로 변경되어 공모사업 선정을 둘러싼 학교 간 경쟁을 방지하고 그로 인한 교원의 업무 피로를 줄일 수 있는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강은희 교육감은 “공모사업 자율선택제가 학교현장의 책임 경영 및 자율성을 확대하고, 학교 간 균형발전을 유도하는 동시에 업무경감의 효과까지 나타나게 되어 세 마리 토끼를 잡은 셈”이라며, “앞으로도 교직원의 업무경감 등 학교 현장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정책과 사업을 발굴, 적용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