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왕사죄 요구'에 문희상 일성, "사과할 생각없고 그럴일도 아니다" 일축
문희상 국회의장은 17일 자신의 '일왕(日王) 사죄 요구' 발언에 대한 일본의 반발에 대해 "사과할 생각이 없고 그럴 일도 아니다"라고 조선일보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한일관계가 미래지향적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의장은 이날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와 일부 국민이 달은 보지 않고 손가락만 보고 이야기하고 있는 모양새"라며 "한·일 간의 역사 문제에 관한 제대로 된 화해를 위해서는 일본을 대표하는 총리나 국왕의 진정성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한 얘기였다"고 말했다. 이어 "누가 봐도 일본을 대표한다는 사람의 상징적 사과 '미안합니다' 한마디면 된다는 것이었다"며 "사과의 주체를 따지자면 현직 총리인 아베 총리가 1순위, 그다음 2순위가 국왕이 될 것"이라고 했다.
문 의장은 "독일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전쟁 범죄를 갖고 지금도 유태인 묘지에 헌화를 하는 등 사과를 거듭함으로써 유럽연합(EU)을 이끄는 '리딩 스테이트(선도 국가)'가 된 것"이라며 "역사의 법정에서 전쟁이나 인륜에 관한 범죄는 시효가 없다"고 했다. 그는 "일본도 진정성 있는 사과를 통해 화해를 이뤄야 '리딩 스테이트'가 될 수 있다"고 했다.
다만 문 의장은 "현재 국제 정세의 큰 흐름을 보면 이런 논란을 빨리 정리하고 한·일 관계가 미래 지향적으로 가야 한다"고 했다. 그는 "대한민국의 운명을 좌우하게 될 '미·북 정상회담'이 열흘 앞으로 다가왔는데 한·일이 서로 다투는 것은 맞지 않는다"며 "북·중·러가 한 묶음이라면 한·미·일이 한 묶음"이라고 했다.
일본 내에서 한국에 대한 취업 비자 제한 등 보복성 조치가 거론되는 것에 대해선 "소탐대실하는 것으로 애들 장난 같은 얘기"라며 "일본에서도 뜻이 있고 역사를 제대로 보는 사람들은 이런 상황에 찬성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서대문형무소에서 무릎까지 꿇었던 하토야마 전 총리처럼 진심 어린 성찰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상당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도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