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영민 '주중대사' 차기 대통령비서실장 거론에 충북지역 "술렁'
노영민(61) 주중대사가 차기 청와대 대통령비서실장으로 거론되면서 충북지역 정가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6일 정가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이 조만간 청와대 비서실 개편을 통해 임종석 비서실장 후임으로 최측근인 노 대사를 가장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 대사는 충북 청주 태생으로 석교초, 주성중, 청주고,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연세대 재학 중 구국선언서 사건으로 구속됐고 1980년대 노동운동에 투신했다.17·18·19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2016년 시집 강매 논란으로 20대 총선에는 불출마했다. 2017년 19대 대선에서 조직본부장을 맡았고 같은 해 10월 주중대사에 임명됐다.
노 대사가 대통령비서실장에 임명되면 1960년 대통령비서실이 정식 편제된 이후 충북 출신으로서는 두 번째다. 충북 출신 첫 번째 대통령비서실장은 2016년 5월16일부터 10월30일까지 청와대비서실을 지킨 이원종(76) 전 충북지사다.
정부조직법 14조에 근거한 대통령비서실장은 대통령의 직무를 보좌하는 대통령비서실을 대표한다. 장관급 정무직공무원인 대통령비서실장은 2공화국 시절인 1960년 처음으로 설치돼 이재항(1920~1985)씨가 초대 실장을 지냈다. 대통령비서실이 편제되기 전 1공화국에서는 경무대비서실, 2공화국 초기에는 청와대비서실이 설치됐다.
1공화국인 이승만 정부 초대 경무대비서실장은 이기붕(1897~1960)씨였다. 그는 부통령 선거에 나서 당선했으나 3·15부정선거로 촉발된 4·19혁명으로 생을 마감했다.
이기붕 실장은 충북 괴산군 청천면 후평리에서 태어났다. 현 대통령비서실의 전신이랄 수 있는 경무대비서실 초대 실장이 괴산 출신인 것을 보면 대통령을 아주 가까이에서 보좌하는 비서실장에 충북 출신은 이미 2명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당시 경무대비서실이 단순 비서와 서무보조에 국한했다고 하더라도 막강 정권의 핵심 참모 역할은 부인할 수 없을 듯싶다. 노 대사가 이번에 대통령비서실장에 임명되면 가장 가까운 곳에서 대통령을 보좌하는 역대 세 번째 충북 출신이 되는 셈이다.
다만 윤보선 대통령이 경무대를 청와대로 바꿔 대통령비서실이 정식 편제된 1960년 이후를 놓고 본다면 이원종 전 실장이 충북 출신으로는 지금까지 유일한 대통령비서실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