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전략 전환’ 박원순…인사 방식에 변화 이유는
[일요서울|장휘경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이 지난 6일 내놓은 '민선7기 인사운영 방안'은 지난 2014년 재선에 성공한 뒤 발표했던 인사혁신안과는 사뭇 달라 주목된다.
민선 6기 당시에는 공직사회 개방성을 강화하고 서울시 공무원들의 분발을 자극하겠다면서 외부인사를 대거 영입했다면, 이번에는 격무에 시달리는 내부 공무원들을 달래고 사기를 진작시키는데 방점을 두고 있다.
2014년 재선에 성공한 뒤 박 시장이 내세운 '외부 수혈' 인사 원칙은 시 공무원 조직에 활기를 불어넣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조직 내부에서는 일반직 공무원들의 반발이 적지 않았다. 외부영입으로 시 공무원 조직이 이른바 늘공(행정고시 등을 통해 공직에 들어온 공무원)과 어공(외부영입 등을 통해 공직에 들어온 임기제 공무원)으로 나뉘어 갈등이 불거졌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 때문에 이번 민선 7기 인사운영 방안은 그간의 박원순식 인사전략의 반성 또는 변화라는 해석이 제기된다. 공무원을 다그치고 가르쳐야 할 대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던 박 시장이 이제는 보다 나은 시정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함께 해야 하는 '파트너'로 바라보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박원순식 인사 방식 변화는 민선 6기말에도 일부 감지된 바 있다. 격무부서에서 하위직 공무원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이 발생하자 박 시장은 자신의 지시사항을 걸러내는 장치를 마련하는 등 공무원 조직 달래기를 시도했었다.
박 시장으로서는 2011년부터 거듭된 외부인사 영입으로 인한 내부 늘공-어공간 갈등과 피로감을 해소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점차 강화되는 야권의 공세 속에 '박원순식 코드인사'라는 비판의 예봉을 꺾을 필요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박 시장이 이날 발표한 인사의 핵심인 국장급 통합승진제와 주요 난제 담당 실무공무원 공모제, 격무·기피부서 장기근무자 특별승급 등도 이런 기류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국장급 통합승진제는 3급 승진심사시 직렬·직군 구분 없이 모든 일반직에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는 고위직 인사적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풀이된다.
주요 난제 담당 실무공무원 공모제는 해결하기 힘든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 사이에서 터져나오는 불만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이다. 그간 어려운 업무를 맡는 공무원들이 인사발령과 함께 휴직을 하는 등 문제가 적지 않았는데 업무 담당 희망자를 내부에서 모집함으로써 이를 해결하겠다는 것이다.
격무·기피부서 장기근무자 특별승급 역시 힘든 업무에 시달리는 공무원들을 달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다만 박 시장은 이번 인사운영 방안에서도 2022년까지 임기제공무원, 변호사 등 전문자격증 소지자, 민간근무경력 보유자, 전문경력관 등 300여명을 외부에서 영입하겠다고 밝혔다. 외부인사 영입 자체를 포기하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조직에 변화와 혁신을 가져올 외부인사의 충원과 기존 내부 직원들의 사기 진작 사이에는 늘 딜레마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이번에 발표한 민선7기 인사 운영계획은 이런 측면에서 양자의 적정한 균형을 찾아가는 노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