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정규-비정규 '농성 해제' 두고 노-노 갈등
2010-12-07 장지승 기자
정규직 노조인 금속노조 현대차지부(지부장 이경훈)는 6일 저녁 노조 사무실에서 확대운영위원회를 갖고 8일 총회(파업 찬반투표) 이전에 교섭창구가 개설되면 비정규직지회는 1공장 농성을 해제한다고 결정했다.
그러나 비정규직(사내하청) 노조는 이에 합의한 적이 없다는 주장이다.
현대차비정규직지회 이상수 지회장은 확대운영위 결과를 본 뒤 곧바로 전 조합원에 '정규직화 성과없이 농성해제 없다. 이번 투쟁에서 기필코 사원증(정규직) 받고 내려 간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어 보도자료를 통해서도 "현자비정규직지회는 이경훈 지부장이 제안해 확대운영위에서 통과된 농성중단은 지회 조합원들의 불법파견 정규직화 투쟁의 의지를 꺾고, 금속노조의 총파업 투쟁을 막는 등 불법파견 투쟁을 교란시켰다고 규정한다"고 밝혔다.
비정규직지회는 "현자지부 이경훈 지부장이 '합의된 문구다'며 확대운영위 간담회를 통과시킨 1공장 거점파업 농성 철회 결정에 대해 현자비정규지지회 조합원 및 현자지부 조합원에게 공개적으로 사과하고, 공식적인 해명을 통해 사실관계를 바로 잡아 줄 것을 단호하게 요구한다"고 말했다.
이는 점거농성장을 엄호해 주고 있는 정규직 노조에 분명한 자기 목소리를 낸 것으로 '정규직화 성과없이 농성해제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하지만 정규직 노조는 사태 해결을 위해 농성해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10일 금속노조 총파업이 계획돼 있지만 실질적인 파업 동력은 현대차다. 이를 위해 현대차 노조가 8일 조합원 찬반투표를 실시하지만 현장 분위기는 부결쪽이 우세하다.
결국 비정규직이 정규직 노조 집행부의 제안(점거농성 해제)을 거절한 상황에서, 정규직 조합원에게도 파업 지지를 얻지 못하는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비정규직 점거농성장을 지키고 있는 정규직 노조 집행부와 연대가 약해질 수 밖에 없다. 이는 공권력 투입을 의미하기도 한다.
현대차 정규-비정규 노조는 최근까지 3주체 회의(금속노조, 현대차지부, 비정규직 3지회)를 통해 특별교섭단을 꾸리고 회사와 교섭 자리를 갖는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반면 회사 측은 먼저 농성을 해제하면 4자(현대차, 현대차지부, 사내하청업체, 사내하청 노조)간 협의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양측은 협의(교섭) 전 점거농성 해제를 두고 1주일 이상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정규직 노조가 먼저 점거농성 해제를 들고 나왔으나 비정규직 노조가 반대하면서 상황은 달라지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