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청 기자실 일부 중앙지 기자 세력화, 사회문제로 대두
시 당국 “세력적 집단시설, 공공적 집단시설로 개선하라”
[일요서울|인천 조동옥 기자] 인천시청 기자실이 일부 기자들의 세력화로 시 당국의 대외적 정책 방향을 흐트려 놓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실제로 15일 현재, 시민의 혈세로 마련된 약 30평 규모의 기자실은 일부 중앙지 기자들이 자신들의 각종 서류 등 물품을 비치하고 전화 이용 등 각종 특혜를 받으며 사용하고 있어 말썽을 빚고 있다
게다가 시 당국은 최근 권익위에서 언론사 매체명이 부착된 고정석 칸막이 부스가 설치된 기자실 운영에 대한 부정청탁금지법 유권해석과 함께 ‘열려있는 공간’이라고 고지한 안내 표지문을 기자실에 달라는 강력한 개방 권고에도 아랑곳 없이 그대로 방치하고 있어 민선 7기의 기조마저 무너트리고 있다
실례로 본지 기자는 지난 13일부터 일부 중앙지 기자들이 상주하고 있는 기자실에 들어가 인천시 정책방향 등에 대한 기사를 송고하고 있는 가운데 14일 오후 3시경 기사 송고를 위해 자리를 찾던 중 일부 기자와 자리 배정을 두고 심한 시비가 오고 가면서 기사 송고에 어려움을 겪었다
언쟁의 발단은 기자실 칸막이 부스마다 일부 기자들의 각종 물품들이 쌓여 있어 자리를 찾던 과정에 일부 기자들과 심한 언쟁과 마찰을 빚으며 극한 대립을 했다
특히 대립과정에 A 기자는 “기자가 다 같은 기자냐‘며 소수의 지배층이나 쓰는 어처구니없는 말과 함께 일부 상주 기자들에게 ”다른 기자들 출입은 자신만이 해결할 수 있다”며 세력화에 영합시키려는 꼼수를 부리고 있어 웃음거리가 되고 있다
이에대해 B 기자는 “80년대에 머물고 있는 권력 지향적 선동꾼으로 보여진다”면서 “자신을 도마 위에 올려 놓는 소양이 부족한 어리숙한 포퓰리즘은 일상적 잔꾀에서 나오는 행동으로 언론인으로서의 자질이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또 C 기자는 “기자실에 상주하는 일부 기자들은 수십년간 세력화하면서 공무원들의 입을 막는 집단단체로 변질되고 있다”면서 “시민의 혈세로 설치된 시 당국의 재산이 일부 기자들의 이익재산으로 농락당하고 있다”며 시의 대응방안을 촉구했다
이어 D 기자는 “일부 중앙기자들이 시청 외에 사무실을 얻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말이 들리고 있다”면서 “시 당국은 현재 세력적 집단시설을 공공적 집단시설로 개선하여 시민에게 공익적 이익을 돌려주는 지방정부의 역할을 다해야 할 때”라며 시 당국의 각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