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 분쇄기 사용 유무에 따른 암 생존율 차이 없어'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산부인과 육진성 교수, 복강경 VS 개복 근종제거 후 자궁암 환자의 6년간 생존 비교
[일요서울|경기북부 강동기 기자] 자궁근종은 30대 여성의 50%, 50대 여성의 80%에서 확인될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이러한 근종은 수술을 통해 제거할 수 있는데, 특히 복강경 제거술은 개복 제거술에 비해 흉터가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어서 인기 있는 수술법이다.
그런데, 복강경 제거술이 개복 제거술보다 위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복강경 제거술은 제거된 자궁근종을 복부 구멍을 통해 적출하기 위해 분쇄기를 활용한다. 이때 제거술 이후 조직검사에서 근종이 아니라 자궁암으로 드러나고 분쇄된 암덩어리가 복강내에서 퍼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2014년 미국식품의약국(FDA)는 자궁근종 복강경 제거술이 암 전이를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후 분쇄기를 사용하는 복강경 제거술은 상대적으로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자궁근종이 조직검사 후 자궁암으로 드러나는 경우는 극히 드물고 이 경우에도 복강경 제거술과 개복 제거술 사이 사망률에는 큰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산부인과 육진성 교수는 ‘복강경 대 개복 자궁근종제거술 후 예상치 못한 자궁암 환자의 6년간 생존비교; 11년간 코호트 연구’ 결과를 최근 미국부인암학회 공식저널이자 부인암 분야 최고 권위지인 Gynecologic Oncology를 통해 발표했다.
육 교수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궁근종 제거술을 시행한 7만 8,826명 중 복강경 제거술을 시행한 2만 2,613명과 개복 제거술을 시행한 5만 6,213명의 생존률을 2016년까지 6년 이상 (최대 10년) 추적 조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