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조 국책사업 유치 ‘삼척 지도가 바뀌고 있다’
2011-06-07 기자
삼척의 지도가 바뀌고 있다.
삼척시가 LNG생산기지 건설에 이어 착공이 초읽기에 들어간 삼척종합발전단지 건설사업인 10조 원대 국책사업을 유치하면서 LNG생산기지 건설에 64만㎡, 종합발전단지 건설에 98만㎡ 등 모두 162만㎡ 면적의 공유수면(바다)이 매립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토해양부가 작성하는 국가지형도 기본계획에 멀지 않아 삼척시는 새로운 좌표를 제공해야 할 상황이다. 6월 초로 착공이 예정된 삼척종합발전단지 건설사업은 한국남부발전(주)이 정부의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258만㎡ 일대에 3조2000억 원을 들여 1000㎿급 발전설비 2기를 2015년까지 설치해 연간 1만6000GWh의 발전량을 생산하는 그린파워 1, 2호기 건설사업이다.
심각한 에너지 위기상황에 따라 내년 말 짜일 정부의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그린파워 3, 4호기가 반영돼 오는 2020년까지 건설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로써 삼척종합발전단지에만 5조9000억 원의 국책사업비가 투입된다.
삼척시는 이와 함께 지난해 11월 에너지산업육성 포럼에서 제기됐던 SNG연관산업 생산공장을 삼척종합발전단지 내에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 중에 있다. 이 SNG연관산업 생산공장 건설에도 1조5000억 원대 사업비가 투자될 전망이다.
이에 앞서 사업이 진행 중인 삼척LNG생산기지 건설사업은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 재산마을 일대 98만㎡ 부지에 총사업비 2조8000억 원을 들여 20만㎘급 저장탱크 12기와 기화송출설비, 27만㎘급 LNG선 접안설비 1선좌(12.7만t급), 방파제 1,8㎞를 건설 중에 있다. 당장 2013년까지 저장탱크 4기가 세워질 계획으로 공정이 진행 중이며, 나머지 8기의 저장탱크는 2015년까지 건설된다.
삼척시는 이들 국책사업 유치로 정부의 국가 전력 수급에 크게 기여할 뿐 아니라 러시아 천연가스 수입 등 동해안 에너지 거점을 구축하고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에 에너지산업을 연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향후 환동해 경제권을 선도하는 동북아의 비즈니스 물류 중심지로서 발전 가능성도 높게 점쳐지고 있다. 이를 위해 삼척시는 도 지정 관리항인 호산항이 국가 관리항으로 지정되고 30만t급 접안시설을 갖춘 항만으로 개발될 수 있도록 건의해 놓고 있다. LNG와 석탄의 물류 하역이 전용항에 국한되는 것은 국가적 손실이고 수출입 공산품과 곡물 등 다목적 무역항으로 개발돼야 한다는 논리로 설득에 나서고 있다.
삼척시 관계자는 “부지 131만㎡ 규모의 항만 신규 개발을 위해 소요되는 8300억 원의 국비를 요청해 놓고 있다”며 “10조 원대 국책사업 건설로 삼척의 지도를 다시 그리는 대역사가 만들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강원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