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곶자왈, 도립공원으로 개발 추진
일부에서는 ‘자연 그대로’주장
2011-01-03 기자
제주의 허파 ‘곶자왈’을 도립공원으로 만들기 위한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제주도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곶자왈공유화재단은 지난해 12월 29일 곶자왈 보전·관리를 위한 시범사업의 하나로 ‘곶자왈 생태도립공원 조성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개최했다.
JDC는 최근 대정읍 신평리와 곶자왈 도립공원 조성을 위한 상생협력을 체결한 바 있다. 민·관이 도립공원 조성에 호흡을 맞추면서 사업은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를 비롯해 JDC, 공유화재단 등은 이날 업무협약에서 곶자왈의 보전과 합리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도립공원’ 추진이 가장 합리적이라는 의견에 뜻을 모았다.
제주도 관계자는 “향후 곶자왈 도립공원 조성에 따른 공원수립 계획은 제주도 등 3자 협의를 통해 추진할 예정”이라며 “공청회 등 도민 의견 수렴을 거쳐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곶자왈 도립공원화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다. 곶자왈 지킴이 노릇을 자처하는 소규모단체 ‘곶자왈사람들’은 “자연의 굴곡을 그대로 두고 보존하는 것이 곶자왈을 위하는 길”이라고 단정했다.
특히 사업 추진 주체가 ‘개발’을 우선순위로 둔 JDC라는 점도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또 도립공원 예정지는 사유림이 많아 부지 확보에 어떤 묘책을 쓸지도 주목된다.
JDC 관계자는 “돈을 들여 사유림을 매입하는 방안보다 소유자들의 기부를 통한 공원조성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개발사업이 아닌 제주의 환경자산을 보전·활용하자는 뜻으로 봐 달라”고 말했다.
도립공원은 시·군립공원이 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도립공원으로 지정·변경해 6개소가 지정됐다. 제주조각도립공원을 비롯해 우도·추자·마라·서귀포·성산일출해양도립공원이 있다.
한편 공유화재단에서는 ‘도립공원 지정을 통한 곶자왈 보전·관리방안 모색’을 주제로 업무협약식 후 포럼을 개최한다. 포럼은 제주 원시림을 체험할 수 있는 최소의 시설을 설치하는 방안 등이 모색될 예정이다.
[제주도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