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시설없는 안양권 ‘저승이 천리길’

광명·군포 등 중부 5개 市, 타지역 원정 큰 불편

2010-10-26      기자
안양·광명·군포·의왕·과천 등 인구 144만여 명에 이르는 중부권 5개 시에 화장(火葬)시설이 없어 화장으로 장례를 치르려는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지난 10월 19일 이들 지자체들에 따르면 1990년대 초반 20%에 머물던 화장률이 꾸준히 증가해 2001년 40%대를 보이더니 5년만인 2006년에는 50%를 넘어서며 매장률을 앞섰다.

특히 안양시의 경우 지난해 화장률이 71%를 넘는 등 절대 다수가 화장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안양을 비롯해 광명·군포·의왕·과천지역에는 현재 화장시설이 없는 상태다.

이로 인해 이들 지역 주민들은 화장을 위해 가깝게는 수원과 성남·인천 부평·고양, 멀게는 충청도까지 원정을 가야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이마저도 예약률이 100%를 기록하면서 원하는 시간대에 화장을 하기란 하늘의 별따기다.

또한 지자체별로 화장 비용도 천차만별이어서 거주지에서 화장을 할 때보다 많게는 10배 이상 많은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등 이중고를 겪고 있다.

지난 달 지병으로 세상을 떠난 아버지의 장례를 치른 김모(56·안양시 만안구 안양동)씨는 부족한 화장시설로 큰 곤혹을 치렀다. 김씨 가족은 수원연화장에서 화장을 하려했지만 이미 예약이 찬 상태여서 충청도의 한 화장장을 이용해야만 했다. 인천은 물론이고 수원·성남은 100만 원의 이용료에도 이용이 어려웠다. 이는 10만 원만 내면되는 관내 주민의 이용료보다 10배 이상 비싼 가격이다.

결국 김씨 가족은 수소문끝에 30만 원을 내고 충북 청주에서 아버지를 모셨다.

김씨는 “돈은 돈대로 들고 고인을 이리저리 모시고 다녀야 해 비통한 심정을 가눌 수 없었다”며 하소연했다. 장례지도사 이모(42)씨는 “타 지역에서 화장을 하는 경우는 이용료가 50%이상 비싸다”며 “화장 예약을 기다리느라 4일장을 치르는 가정도 종종 있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정부가 지난 2008년 5월부터 지자체별로 화장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지역 주민과 타 지역주민의 화장 요금을 차등화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기피시설’이란 이유로 지역주민들과 마찰이 우려돼 화장시설 설치에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경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