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국 문경시장 '전통찻사발축제 세계축제로 키우겠다'

축제 성공. 자신감 피력

2008-05-18     고도현 기자

지난 12일 폐막된 문화체육관광부‘2008 문경전통찻사발축제’는 55만명의 관광객을 불러들이며 70억 원대의 직·간접 수입을 창출해 냈다.

눈에 보이는 소득 외에 문경은‘도자기의 고장’‘문경새재 등 청정 관광지’‘친환경 농업도시’ 등 이미지를 전국에 제대로 알렸으며, 전국의 차 동호인들이 대거 행사장을 찾는 등 축제가 성공적으로 자리매김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내년에 더욱 더 알차게 이 행사를 준비해 명실상부하게 전 국민들로부터 사랑받는 축제, 세계적인 축제로 키우겠다는 신현국 경북 문경시장을 만났다.

축제가 대성황을 이뤘다. 노고가 많으셨다.

이번 축제는 그 규모는 물론 찻사발·농산물 판매, 관람객 증가 등의 축제성과도 지난해 보다 컸다.

무엇보다 큰 성과는 찻사발 축제가 세계적인 축제로 발전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 자신감을 얻은 것이다. 협조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

축제 평가단의 지적과 시민들의 의견을 잘 정리해서 내년도에는 보다 더 나은 축제를 이끌어 내기 위해 다소 부족한 예산을 늘리는 방안도 강구하겠다.

문화체육관광부 우수·최우수, 세계축제로의 발전 노력에 대해.

해외 참가국은 작년 8개국에서 16개국으로 늘어났다.

국내는 물론 외국인 차 동호인을 위한 홍보와 교류를 본격적으로 확대하겠다.

차문화가 앞서 있는 일본을 비롯해서 중국, 대만 등 동양권의 차인들을 초청,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세미나 등도 개최해 축제의 대내외적인 인지도를 더욱 높이겠다.

도자기 특구 추진에 대해 말씀을.

도예인들이 몰려 있는 문경읍 전체를 다 포함시키기는 어렵고 관음지구,진안지구 등으로 나누는 방안과 도예인 집 근처와 요장 등은 가능하다는 연락을 받았다. 연말에 결정될 것이다.

관주도에서 민간주도의 축제 추진 여론 등에 대해.

현재 유사축제를 하고 있는 여주, 이천 등에서도 사실상 관주도로 하고 있다.

민간주도로 치루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차인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요즘 각 가정을 봐도 다기세트를 갖추고 손님을 맞이하는 집이 많다.

이 때문에 찻사발에 대한 수요도 늘고 있다. 전국의 차인들이 함께하는 대표적인 축제가 될 수 있도록 홍보는 물론 지역 차인들의 단합과 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

도예인들의 지역사회 기여 부족 등 논란도 만만찮은데

축제는 시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찻사발축제는 도예인만의 잔치가 아니다.

지역사회에 대한 환원 문제에 대해 최근 도예인들과 논의가 있었는데 대부분 공감 했다. 금년부터 달라 질 것이다.

전통가마와 가스가마 논란에 대해서는 공청회 등을 통해 양쪽 모두 의견을 모아 합의점을 찾도록 하겠다.

축제장소와 축제기간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축제규모에 비해 장소가 협소한 문제는 심각하게 고민해야 될 문제다. 일단 새재관문 인근 부지를 매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주)문경관광개발로부터 환매 계획인 새재유희시설 부지는 다른 용도로 검토하고 있다.

찻사발축제는 4∼5월 개최가 각인이 돼 있고, 농번기도 1주일 정도 반짝 바쁘기 때문에 기간을 늘려도 무리는 없다고 본다.

여주와 이천은 한달, 강진은 2주 동안 한다. 우리도 축제기간을 늘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