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인사와 굿모닝 임원간 의형제 맺어”

2003-07-16      
“언론사 기자 촌지리스트도 곧 밝힐 것”사건이 터진 후 연일 밤잠에 시름하고 있는 굿모닝시티에 투자한 피해자들이 또 한번의 ‘폭탄선언’을 예고하고 나섰다. “평생모은 피같은 돈을 이대로 날릴 수 없다”는 이들의 분노는 마침내 굿모닝시티 본사를 점거했고, 자체 협의회를 구성해 조직적 대응에 나섰다. 이미 대응책 모색에 여러날 밤을 샌 사람도 적지 않다. 어떡해서든 보상을 받겠다는 게 이들의 굳건한 의지. 따라서 노무현 대통령을 비롯한 여·야정치권은 이들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다. 결국 상가 분양사기는 무책임했던 정부와 정치권이 책임져야 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이미 협의회측은 두 차례에 걸친 기자회견을 통해 굿모닝의 은행대출 자금흐름 자료와 김대중 전대통령 동생 김대현씨의 연루의혹을 폭로한 바 있다.

중요한 것은 이들의 폭로 근거. 협의회측은 사건직후 굿모닝측 컴퓨터 본체를 모두 압수해 자료분석에 들어갔고 앞서 폭로한 내용도 이러한 굿모닝측 자료를 근거로 한 것이다. 따라서 어느 정도 물증이 확보된 주장이라는 데서 이들의 주장을 간과할 수 없는 상태다. 이런 가운데 최근 협의회측은 컴퓨터에 저장된 문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놀랄’만한 내용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협의회측 핵심 관계자는 “문서에 씌어진 내용의 사실여부에 대해서 우리는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굿모닝측 문서라는 것만으로도 이를 밝힐 것이다”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협의회측이 입수한 문서의 주요 내용은 현청와대 관계자와 굿모닝측 임직원이 의형제를 맺었다는 것과 언론사 기자 이른바 촌지리스트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기자회견을 통해 이것을 공개할지 말지는 내부 협의를 거쳐야 한다”며 기자의 문서요구에 대해 “조금만 기다려달라”는 말로 대신했다.

“청와대 직원이 굿모닝 직원과 의형제를 맺었다는 내용의 문서가 발견된 것이 사실이냐”는 기자의 물음에 이 관계자는 “그렇다”고 말했다. 하지만 “누구냐”는 물음에 대해서는 “아직 밝힐 때가 아니다. 조만간 밝힐 예정”이라고 말해 누군인지가 밝혀질 경우 뇌물수수 여부와 상관없이 정치권 안팎에 상당한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보인다. 또 핵심관계자는 언론사 기자들에게 건네진 ‘촌지리스트’도 확보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협의회측은 이 리스트 역시 조심스럽게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협의회측 한 인사는 “우리가 확보한 모든 문서가 우리를 지켜줄 유일한 물증이다”며 “우리의 빼앗긴 권리를 찾기 위해서라면 권력의 눈치보지 않고, 정면으로 맞설 것”이라며 굳은 의지를 피력했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