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의원 "브렉시트 '이혼 합의금' 못내겠다… 獨도 전후 채무 탕감"
메이 英총리 "브렉시트 '이혼'으로 부르지 말라"
2017-03-22 변지영 기자
이날 캐시 위원장은 "1953년 런던체무협정(LDA)을 명심해야 한다"며 "독일은 2차 대전 기간 온갖 나쁜 짓과 부당한 침략에도 불구하고 빚 절반을 탕감받았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현재 EU내 독일의 지배적인 역할을 고려할 때 이 같은 사실을 브렉시트 협상 과정에서 전략적으로 지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국은 EU에 법적·정치적으로 빚지지 않았음을 강조하자는 얘기다.
런던체무협정은 2차 대전 이후 서독의 서구 재편입을 돕기 위한 방책의 일환으로 체결됐다. 이 협정에 따라 서독은 전쟁으로 진 빚의 50%를 탕감받았다. 부채 역시 경제 여건에 따라 상환하도록 했다.
국제 추세를 비교해 보았을 때 영국은 브렉시트로 EU에 '이혼 합의금' 약 500억 파운드(약 70조 원)를 지불해야 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실정. EU는 연금 등 영국이 회원국으로서 부담하기로 약속한 금액을 내 놓으라고 압박할 전망이다.
브렉시트를 찬성한 이들은 브렉시트 탈퇴에 관해 '이혼'이란 단어도 부정적 의미를 준다며 삼가해주길 바라는 눈치다.
영국 안팎에서 브렉시트를 '이혼'에 빗대고, 브렉시트 탈퇴할 경우 영국이 정산해 내야 할 분담금을 '이혼 합의금'으로 표현한다. EU 탈퇴파의 입장에서 이런 표현이 독자 번영을 제시하는 이들보다 탈퇴 후 겪게 될 충격에 더 큰 관심을 갖고 있는 EU 잔류파들의 의견을 반영했다고 보이기 때문이다.
이혼 합의금을 둘러싼 양측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는 한편, 익명을 요구한 한 EU 관계자는 영국이 이혼합의금 지불을 거부한다면 해당 안건을 국제사법재판소(ICJ)로 가져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