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시설공단, 폐침목 방치 ‘눈가리고 아웅’
그늘망으로 폐침목 덮어...여전히 환경오염 노출
2017-02-23 경남 이도균 기자
이곳에 방치된 폐침목은 기름에 절여져 있어 지정폐기물로 분류되고 있지만 아무런 보완조치 없이 저수지 인근에 방치돼 있어 빗물에 노출되면서 환경오염의 우려를 낳고 있다.
지난 2012년 10월께 경전선 마산~진주간 복선 개통으로 폐선이된 경전선 일부 구간들이 자전거도로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폐침목의 무단방치 각종 폐기물 투기 등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폐침목은 인체에 유해하며 크레오소트유는 침목제작과정에서 방부용으로 첨가되는데 벤조피렌을 비롯해 인체 유독물질인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를 다량 함유한 화학물질로 국제암연구기구(IARC)는 인체 발암물질로 규정하고 있는 폐기물관리에 허점을 보이고 있다.
특히 폐침목이 일반인의 손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폐기물 상부에 커버 등을 설치해 유출을 방지해야 하지만 아무런 보호조치 없이 방치되어 있어 만약 시민들이 폐침목을 접할 경우 각종 질병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인근 주민 이모(55‧진주시 진성면)씨는 “발암 덩어리를 아무런 조치 없이 방치하는 것은 토양과 수질을 심각하게 위해하는 것은 물론 시민 건강까지 위협하는 것이다”며 “관계기관은 이 상황에 대해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책으로 조속히 처리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지정폐기물인 폐침목의 보관방법은 '자체무게 및 보관하려는 폐기물의 최대량 보관 시의 적재무게에 견딜 수 있고, 물이 스며들지 아니하도록 시멘트, 아스팔트 등의 재료로 바닥을 포장하고 지붕과 벽면을 갖춘 보관시설에서 보관하여야 한다'라고 규정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