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내 항만 물동량 2억9073만톤 달성
경기침체에도 2015년 대비 0.8% 증가, 진해항과 고현항 대폭 증가
2017-02-03 경남 이도균 기자
반면, 통영항은 중소 조선소의 법정관리 및 폐업 등의 영향으로 44.7%로 대폭 감소한 19만 톤, 옥포항은 대우조선해양의 본격적인 구조조정 및 매출하락에 따라 14.6% 감소한 867만 톤을 처리하는데 그쳤다.
또한 발전소가 위치한 삼천포항과 하동항은 전력소비 감소에 따른 유연탄 수입물량 219만 톤의 감소로 전체적인 물동량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부산항 신항은 2015년 대비 1.6% 증가한 2억 3018만 톤을 처리했으나, 한진해운 사태 등에 따라 컨테이너 물동량은 0.2% 소폭 감소한 1285만TEU에 그쳤다.
특히 컨테이너 물동량은 마산~일본 시모노세키항 직항로 운항 협약 등 경남도 및 관계기관의 적극적 행정적 지원에 힘입어 2015년 1만3210TEU에서 지난해에는 23.1% 대폭 증가한 16,361TEU를 처리해 종합항만으로 위상을 견고히 하고 있다.
김양두 도 항만정책과장은 “올해도 경기상황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지만 진해~제주항로 추가 선박 투입, 조선기자재 운송 등 일반 화물선에 대한 신속한 입출항 지원으로 기업경쟁력 제고는 물론 항만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