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센터 관리 주체 놓고 오산시와 화성오산교육지원청 책임공방

오산초 국민체육센터 시·교육청·국회의원 모두 뒷짐만…

2011-10-17     김장중 기자

오산체육센터, 개장 전부터 적자 운영 ‘고심’
학생들 안전은 ‘뒷전으로 밀려’


김장중 기자 = 지난 2009년 당시 ‘(가칭)오산초 국민체육센터(이하 센터)’의 부지 선정을 놓고 벌여온 경기도 오산시 국회의원과 시장의 싸움, 하지만 이젠 센터의 관리주체를 놓고 오산시와 화성오산교육지원청(이하 해당 교육청)의 끈질긴 싸움이 시작됐다. 이 센터는 지난 2003년 박신원 전 오산시장의 수영장 건립 검토로 시작된 지 11년 만인 다음 달 문을 연다. 문제는 센터에 수영장이 빠지고 유치원과 소공연장, 헬스장, GX(다목적 스포츠센터), 다목적 문화공간과 문화교실만이 들어선다. 센터가 개관을 하더라도 경영의 어려움은 불을 보듯 뻔하다. 나머지 시설로는 운영비를 책임질 수 없기 때문이다. 센터 운영에는 매년 2억 원 정도의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 예산 지원에 대한 부담감으로 양 기관의 충돌은 지금 ‘한 치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형국’이다. 결국 센터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은 더욱 커지게 돼 사실상의 센터 운영은 ‘부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수영장 건립을 목적으로 한 이 사업은 지난 2003년부터 사업성에 대한 검토가 시작됐다. 지난 2005년 10월 경기도가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이하 공단)에 국민체육센터 건립지원 대상지로 오산시를 추천하면서 본격화 됐다. 같은 해 12월에는 시가 오산동 850-1번지 구 시청사 자리에 수영장 건립을 공단에 신청했었다. 그러나 수영장 규격을 놓고 공단 지침과 시의 계획이 배치되면서, 시는 오산시 청학동 17번지 오산중학교 부지로 바꿔 2008년 6월 최종 선정했다. 이 학교는 당시 이기하 전 오산시장의 모교다.

시민들이 배구나 테니스 등 생활체육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오산중 인근에 마땅한 시설이 없고 주변 체육 인프라 연계양호와 지리적 여건을 갖췄다는 것이 당시 오산시의 판단이다.

그러나 2007년 12월 지역구 안민석 국회의원이 김진춘 경기도교육감과 박재호 공단 이사장 등 3자가 모인 자리에서 오산초교와 ‘체육복합시설 건립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면서 ‘총성 없는 전쟁’이 시작됐다.

안 의원이 당시 공단 30억 원 기금에 추가로 60억 원을 타 부처에서 지원받아 이 부지에 학교복합화시설(체육관·수영장·문화시설 등)을 유치하겠다고 공단에 제의, 공단이 긍정적 검토를 시작하면서 사업이 늦춰지게 됐다. 이 싸움은 지난 2009년 11월 5일 이기하 전 시장이 검찰에 수뢰혐의로 구속되면서 일단락됐다. 당시 공단 측은 오산시에 보낸 ‘센터 부지변경관련 검토의견통지’에서 오산중에 건립될 경우 지역주민들을 위한 생활체육시설이 아닌 학교전용시설로 사용될 가능성과 사학재단 소유로 향후 운영관리 우려 및 지역민들의 민원 심화 가능성 등을 부적합 이유로 들었다.

관리 주체와 문제점은

센터의 공정률은 58%지만 공사는 더욱 늦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센터가 건립되는 땅이 일단 학교 부지 내 땅이고, 학교 내 시설물이라 학교가 운영권의 주체를 맡게 될 조짐이다. 어쩔 수 없이 센터 관리를 떠맡은 꼴이다. 오산초가 직접 경영을 맡으면 센터 관리 및 운영에 대한 책임성 제고와 관리 인력의 효율적 운영 등은 예상된다. 하지만 학교 내 시설물 안전사고 및 학생 보호 등에는 한계가 있다. 유치원 및 학생 수업 시간에도 일반인들의 출입이 자유롭다보니 등하굣길은 학생 안전을 더욱 크게 위협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뚜렷한 대책이 없다. 해당 교육청은 센터 운영에 3명의 공무원 파견을 계획 중이다. 고작 3명의 공무원이 센터 운영은 물론 학생들의 안전까지 책임져야 하는 상황이 곧 이곳에 불어 닥친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곽상욱 현 오산시장도, 안민석 국회의원도 언급이 없다. 오산시는 지역 내 학교 체육시설에 대한 사용료를 무료로 하고, 운영비 일부를 보전해주는 방식을 제시했고 안 의원 측은 당초 선거 공약을 실천했기 때문에 더 이상 할 말이 없다는 입장이다.

처음부터 경영난에 허덕여

정치적 공방으로 센터 건립이 늦춰지자, 오산시민스포츠센터에 수영장이 들어섰다. 북카페 역시 오산시 운암지구에 신설돼 당초 계획이 크게 바뀌었다. 무엇보다 수영장을 빼 센터 경영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아직까지 운영에 대해 정해진 것은 아무것도 없다. 다만 매년 운영비 명목으로 지원되는 사업비 액수에 대해서만 오산시와 교육청이 서로의 입장만을 확인했을 뿐이다. 센터 프로그램 역시 바뀔 가능성은 없다. 수익은커녕 적자운영으로 매년 수억 원의 예산을 쏟아 붓게 생겼다. 해당 교육청 관계자는 "센터 프로그램의 경우 각 전문 업체에 의뢰해 진행하게 될 것"이라며 "현재 시설물로써는 수익을 올리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바꾸기는 어려워 시민·학생을 위한 공간으로 운영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적자는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같은 전국의 체육복합시설은 47개소. 이 가운데 수영장 없이 체육관과 부대시설로 설계된 오산초교와 같은 유사모델 체육복합시설은 11개 학교에 불과하다. 이 중 지자체로부터 매년 예산을 지원받는 학교는 서울의 구로초교가 년 1400만 원을, 전북의 고창북고는 1500만 원, 경남 중리초교는 1억5000만 원을 보조받고 있다. 나머지 학교는 자체 사업으로 지자체 지원을 받지 않는다. 결국 센터 운영에 대한 방법론과 관심이 경영의 ‘성패’를 좌우하게 된다.

센터 놓고 시·교육청
‘팽팽한 신경전’


오산시는 최근 자체 ‘운영방안 검토(안)’에서 교육경비에 대한 보조금 명목으로 제2회 추경예산을 통해 오산초교에 지급하거나 추경에서 예산을 세워 대응투자 사업으로 운영하되 운영용역 계약을 체결해 운영하는 방법 등의 2가지 안을 세웠다. 물론 오산시는 다른 시군의 사례를 들며 오산초 운영이 가장 좋은 방안으로 타당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수영장이 없는 체육복합시설의 경우 운영비 부담이 덜하고 수업시간 중 유치원생 및 학생 사용으로 일반 시민에게 개방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견이다. 해당 교육청 의견과 크게 다르다. 이렇듯 양 기관이 아무런 협의 없이 서로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한 상황이다. 운영비 역시 교육청에서는 시에서 1억1400만 원을 지원하면 자신들은 1600만 원을 지원하겠다고 하지만 오산시의 입장은 다르다. 이 센터를 부르는 명칭조차 시와 교육청 제각각이다. 현재 시는 ‘오산 국민체육센터’로, 해당 교육청은 ‘오산초 체육복합시설’로 부르고 있다.

[김장중 기자] kjj@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