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보도] 정수장학회 MBC 지분 30% 보유 민영화 반대 입장 변했나
친박계 극비리 MBC 민영화추진 소문
2011-08-22 윤지환 기자
이 소문이 귀를 솔깃하게 하는 이유는 MBC 민영화 추진 주체가 친박계인 정수장학회라는 내용을 담고 있어서다. 지금까지 MBC의 민영화가 논의될 때마다 매번 좌절된 이유는 정수장학회의 반대에 부딪혀서다. 정수장학회는 방송의 공정성을 이유로 MBC의 민영화를 반대해 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MBC의 지분구조를 보면 방송문화진흥위원회가 약 70%, 정수장학회가 약 3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MB정부 초기 MBC 민영화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하지만 민영화를 둘러싼 찬반 논쟁이 팽팽해 아직 명쾌한 결론이 나지 않는 상태다.
MBC는 독특한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MBC 운영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는 것은 그래서다. MBC는 민영방송 형태로 운영되고 있지만 실질적 주인은 지분 70%를 보유하고 있는 정부다. 하지만 KBS와 같은 공영방송이라고 규정할 수도 없다. 내부적으로 노조의 영향력이 막강할 뿐 아니라 정부의 영향력을 거의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이다.
정부 입장에서는 민영화 추진을 통해 MBC를 통제하는 것이 훨씬 수월할 수 있다. MB가 집권 초반 MBC에 대한 민영화를 추진하려 했던 배경에는 이런 내막이 있다.
MBC 민영화에 가장 큰 걸림돌은 한때 MBC의 실질적 주인이었던 정수장학회다. 정수장학회는 지금까지 MBC의 민영화를 결사반대해왔다. 그러나 최근 정수장학회의 입장이 조금씩 바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종편사업자 출현으로 방송사간 생존 경쟁이 치열해 질 경우 지금보다 MBC의 수익이 줄어들 것은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또 갈수록 커지는 MBC의 정치적 영향력을 우려하는 시각이 적지 않다. 친박계 내부에서도 점점 좌편향적으로 흐르는 MBC를 방관해선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MBC 핵심인사 “때가 됐다”
MBC 민영화 필요성에 점차 무게가 실리고 있는 가운데 최근 MBC고위 인사가 핵심측근들이 모인 자리에서 “친박계가 MBC의 민영화를 극비리에 추진하고 있는 것 같다”는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2주 전 이 인사는 임원회의에서 보안유지를 전제로 이같은 발언을 했다고 한다.
당시 이 인사는 “MBC 민영화는 친박쪽에서 상당한 연구를 했으며 어느 정도 진척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해 회의실을 술렁이게 한 것으로 전해졌다.
MBC의 한 관계자는 “이 인사는 MBC의 고질병인 노조의 전횡을 막을 수 있는 길은 오직 하나 ‘민영화’ 밖에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공개적 발설을 못하는 것은 후폭풍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인사의 발언 직전 이미 MBC 내부에서는 친박계가 MBC 민영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 같다는 소문이 퍼지고 있었던 게 사실이다. 친박계에서 “내년 12월 대선에서 좌편향인 MBC가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것은 불 보듯 뻔하다. 이대로 두고는 선거를 치를 수 없을 것”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었기 때문이다. 야권에서도 “여권이 MBC에 큰 변화를 주려 할 것”이라는 추측이 적지 않았다.
정치권의 한 소식통은 “친박계에서는 MBC를 민영화하는 것이 내년 대권을 잡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라는 주장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고 전했다.
정수장학회는 민영화에 대해 반대하거나 입장을 분명하게 표명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수장학회가 정부의 뜻에 맞춰 민영화에 찬성하게 되면 주주 100%가 민영화에 동의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MBC노조가 민영화에 반발해도 국민적 지지를 얻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종편 MBC 민영화 앞당길 것
또 현재 MBC 내부에서는 “종편 4개 방송이 출범하면 MBC의 광고는 50%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돌고 있다. 다수의 사원들은 방문진이 MBC 주식의 일부를 우리사주 형태로 전환할 경우 민영화에 찬성하는 쪽으로 돌아설 수도 있다.
MBC 민영화를 찬성해온 김우룡 교수는 “스톡옵션 또는 우리사주 등으로 사원들에게 10%를 배정할 경우 MBC 주식평가액 3조 8000억 원의 3800억 원을 1500명으로 분배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사원 한 명당 2.5억 상당이 돌아가게 된다”고 밝힌 바 있다.
방문진이 2009년에 국회 국정감사에 제출한 자료를 살펴보면 정수장학회가 MBC 민영화에 최대 걸림돌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결국 민영화의 열쇠는 정수장학회가 쥐고 있는 셈이다. 이에 친박계에서 MBC의 민영화에 대한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다면 민영화는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자료의 ‘정수장학회 기부금 지급근거 등 지적에 대한 입장’을 살펴보면 <근본적으로는 방문진이 MBC의 소유구조를 완전히 공영화한다는 취지 아래 정수장학회가 소유한 MBC 주식을 가능한 방법이 있다면 모두 인수할 수 있기를 희망함>이라고 향후 조치를 명시했다. 정부가 민영화를 추진했으나 정수장학회의 거부로 실패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100%공영화”라고 말하는 부분은 민영화를 위한 공영화 의도로 분석된다.
또 방문진은 ‘MBC 위상(민영화 주장)에 대한 입장’에서 <재계나 정치권 일각에서 MBC의 민영화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이는 단지 자유경제 논리에만 입각해 제기한 것으로 다원화하는 사회에서 공론의 영역을 담보하는 공영방송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논의라고 판단>이라고 못 박았다.
이어 방문진은
정수장학회측은 친박계 MBC 민영화 추진설에 대해 “한번도 들어본 적 없는 이야기”라며 소문을 일축했다.
MBC도 소문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강조했다. MBC의 한 관계자는 민영화 추진은 금시초문이다. 일단 방문진 입장에서도 민영화는 반대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MBC 내부에 어떤 회의에서도 민영화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고 말했다.
jjh@dailypot.co.kr